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중요 (f. 신생아옹알이, 수용언어, 베일리검사) 말이늦은아이 언어지연, 언어의 흐름파악이
    카테고리 없음 2022. 4. 25. 15:41

     

    언어 흐름 파악이 중요 (f. 신생아 중얼거림, 수용 언어, 베일리 검사)

    文/사진감성앨리스 지금은 한시도 쉬지 않고 계속 얘기해서 내가 제발 그만 얘기하라고 할 정도로...계속 말하는 40개월입니다.

    저는 꽃님이 24개월이 되어도 이야기가 잘 풀리지 않아서 걱정했어요.정말 36개월 전후에 이야기가 쫙 열리면서 말을 굉장히 잘하더라고요.

    저도 역시 말을 잘 못하니까 #언어지연이면 어떡하지? 했는데 다행히 그런 건 아니었어요

    요새는 #말이 느린 아이한테 국가에서 언어교육 지원 이런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를 돕는 방법이 있거든요.

    얼마 전 친구를 만났는데 아는 아이가 세 살이 될 때까지 말이 늦어져서 걱정이 될 정도인데 엄마는 별로 걱정을 하지 않는 것 같아 더 걱정이라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얘기가 늦어지는 시기는 언제일까요?제가 요즘 자주 보는 유튜브 채널 근처 어린이병원 선생님들이 하시는 말씀이 언어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언어 발달의 흐름을 체크해 본다는 건 의사소통의 수단 중 하나잖아요 즉,의사소통이라는것은직접말하지않아도손짓,손짓이런의사소통수단에서부터잘발달되어있는가를체크할필요가있습니다.

    신생아 때부터 의사 소통이 발달하게 되었는데 정말 놀라지 않습니까?신생아의 미소, 그리고 사회적 웃음 등을 시작으로

    2~3개월 때는 퀸(Cooing)이라고 하는 퀸 단계에서 초기 마디를 시작하는 단계 구와 쿠와 같은 음모음 u와 비슷한 목소리의 비둘기 소리처럼 들리기 때문에 퀸이라고 합니다.

    7~8개월 때는 바블링에서 모국어와 비슷한 중얼거림으로 진정한 중얼거림의 시작입니다.모음만 있는 퀸과 달리 바블링은 부부부, 바바바와 같은 자음과 모음이 함께 나타납니다.

    이밖에도울음소리,눈맞춤,엄마가부르셨을때반응하는것등이러한아이의언어발달은평생1년안에발달하는의사소통의수단입니다.

    말하기 시작하는 시기인 1살 초반은 첫 마디래요.이 시기는 소리를 이용해서 여러 가지를 요구하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돌전에는울음소리로모든것을표현했다면,이시기에는소리를이용하면서몸짓과함께어떤것을달라던지,물을달라던지별소용없어보이는소리이지만의미있게아기가제스처를한다고생각하면될것같습니다.

    12개월 ~ 15개월 사이에 아이의 첫단어가 시작됩니다.예를들면부모님단어가나오는시기입니다.

    1세 중반부터 2세 초반까지는 단어 조합 단계의 시기이기 때문에 단어의 수가 많아지고 조합을 하게 됩니다.예를 들면, 두 개의 단어를 조합하는 것입니다.

    엄마 오물오물 주세요.

    이런 조합을 시작하겠습니다

    한살 초반에는 초기 자음으로 모음에 대한 소리가 많이 나지만 한살 후반이 되면 자음과 모음이 섞인 단어의 출현을 하면서 문장도 나오기 시작합니다.

    이런 부분은 발달 스크리닝 검사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18~19개월에는 #수용언어(이해)에 대한 부분이 많습니다.

    여기서수용언어는아이가주변의말을듣고이해하는언어수준을말해요.어린이 장난감은 어디에 있어?라고 물었을 때 주변을 둘러싸고 장난감을 찾는 것입니다.

    ▼ 발달선별지표 조회는 여기 ▼ 검진실시 안내 프린트공유 일반건강검진암 검진 의료급여 생애전환기 검진 영유아건강진단 학교외 청소년건강진단 영유아건강검진 화면 입니다. 영유아건강검진안내영유아검진일조회/문진표서식발달선별검사지안내발달선별검사지사용기간조회/검사지서식화면입니다 주의사항 안내 조산아의 경우 출산예정일에 따라 발달선별 기간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생년월일만으로 발달선별 기간을 알아보는 참고용... www.nhis.or.kr

    18~19개월 발달선별검사지

    내 말을 알아들을 수 있을지에 대한 항목이 많습니다.

    22~23개월 발달선별검사지

    24개월 정도 표현언어(직접표현)에 대한 내용이 많아집니다.

    24~26개월 발달선별검사지

    이렇게24개월이채워져있는데검사결과에서심화권고가나오면반드시언어평가를받아보고아이의수용언어및표현언어가또래와몇%차이나는지확인해야합니다.

    즉각적인 언어평가가 필요한 경우는?

    일관성있는 말소리로 자신의 의도를 표현할 수 없습니다. 2. 이쪽으로 와서 앉아 등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3.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없습니다.새로운 단어의 모방을 시도하지 않습니다. 5. 무엇을 줄까? 라고 물었지만 반응이 없는 6. 제스처 또는 단어를 사용해서 싫다고 표현할 수 없다.

    (출처:유튜브 내 어린이병원) 하나라도 해당되면 언어평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검색을 해봤는데 베일리 검사라는 게 있더라고요어떤 검사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시면 영유아 검진을 통해 특정 영역의 발달이 늦다고 나오면 다음 다음 다음 영유아 검진으로 재평가를 실시하거나 심화발달평가 #베일리검사를 실시합니다.지적능력과 운동능력의 지연 정도를 본 검사를 통해 조기에 발달지연을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아이의 말이 늦게 열리는 경우도 있지만 아이의 개월 수가 증가해서 그런지 능력이 늘었지만 말을 못해서 표현을 할 수 없게 되면 아이의 답답함은 표현할 수 없습니다.

    언어지연은 사회성, 인지, 자조능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말이 늦다고 해서 나중에 열면 무작정 기다리지 말아야 합니다.

    표현어휘와 수용어휘의 격차로 아이가 힘들어하고 답답하지 않도록 언어발달이 자녀의 언어흐름에 맞게 발달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같이 보기 좋은 포스팅은 여기! ▼신생아 중얼거림, 아기엄마의 목소리 말투를 알아보세요. 글/사진감성앨리스 아기가 태어나면 그 작은 입... blog.naver.com

    댓글

Designed by Tistory.